The world of Choral Classics
페이지 정보

본문

전곡 듣기
01 Bach - "Jauchzet, frohlocket"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1734년 크리스마스 칸타타로 그의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의 첫 부분
02 Mozart - Ave verum corpus, K618
Ave verum corpus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1791년에 작곡한 D장조 모테트이다.
라틴 찬송가 "Ave verum corpus"의 배경이다.
03 G. F. Haendel_ See the conqu'ring hero comes (Judas Maccabaeus)
04 Haydn _ The heavens are telling
05 Kyrie
키리에(그리스어: Κύριε, 또는 자비송, 기도송)은 그리스도교 전례의 일부로서,
하느님의 자비를 구하는 노래이다.
이 노래는 또한 미사곡의 첫 번째 곡이기도 하다.
06 Sanctus
상투스(라틴어: Sanctus), 거룩하시도다는 하느님의 거룩함을 찬양하는 전례이다.
삼성경, 또는 신성창이라고도 한다.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감리교, 루터교 등의 전례에서 사용된다
07 Berlioz_ Shepherds' farewell (L'Enfance du Christ)
L'enfance du Christ ( 그리스도의 어린 시절 ), 작품 25는
프랑스 작곡가 헥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의 오라토리오
(오라토리오 ( 이탈리아어 발음: [oraˈtɔːrjo] )는 오케스트라 , 합창단 , 솔리스트를 위한 대규모 음악 작품)
08 Elgar: The Dream of Gerontius, Op. 38_ London Symphony Chorse
09 How lovely are thy dwellings
10 Zadok the Priest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1727년 조지 2세의 대관식을 위해 작곡한 곡으로,
현대 영국에서도 왕실 찬가 정도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11 Jesu, joy of man's desiring
" Jesu, Joy of Man's Desiring "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가 작곡한
1723년 강림절 칸타타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마음과 입과 행동과 삶) BWV 147의 합창곡의 인기 영어 제목
합창은 결혼식과 강림절, 크리스마스 , 부활절 기간에 자주 들을 수 있다
12 Mozart: Requiem – Lacrimosa('눈물 겨운, 눈물을 유발하는')
처음의 반주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곡 자체의 진행이 상당히 무서운 편이라,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와 같은 매체들에서도 주로 악역들의 주제곡이나 악역이 듣는 음악으로 사용되는 곡
13 Thanks be to God
14 Sanctus (Requiem)
15 Hallelujah
'찬양하다', '영광스럽게 하다', '부르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천주교의 경우에는 할렐루야보다는 알렐루야나 '†찬미 예수'의 사용 빈도가 높은 편이다. 정교회에서는 알릴루이아라고 한다.
추천0
- 이전글Twelfth Night 23.11.19
- 다음글The Lyric Poem of Spring 23.11.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