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詩)와 사색] 밤길 > 아침의 문장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아침의 문장

[시(詩)와 사색] 밤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4회 작성일 23-02-18 09:55

본문


밤길 / 이덕규

조금만 참아라
다 와간다 좋아진다
이제 따뜻한 국물 같은 거
먹을 수 있다

멀리서 가까이로
개 짖는 소리 들리고
언뜻 사람들 두런거리는 소리도
지척에까지 가까워졌다가는
이내 다시
아득히 멀어졌다

어머니
누비 포대기 속에서
자다 깨다 자다 깨다
마흔아홉번째 겨울이 간다

『놈이었습니다』 (문학동네 2015)

솜이 아니라 이런저런 헝겊 조각들을 기워 만든 누비옷도 있습니다. 주로 고행을 하는 승려들의 차림이었습니다. 해지고 찢긴 곳마다 누덕누덕 기워 입을 수 있으니 실용성도 뛰어납니다. 솜이나 헝겊처럼 사람도 서로 맞닿아야 좋을 것입니다. 그렇게 함께 ‘따뜻한 국물 같은 거’ 마주하고 싶습니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600
어제
386
최대
1,156
전체
68,13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