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면자건 唾面自乾 > 단상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단상

타면자건 唾面自乾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7회 작성일 23-11-12 08:55

본문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으면 그것이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으로, 처세에는 인내가 필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침 타  : 낯 면  : 스스로 자  : 마를 건

이 말은 《십팔사략()》에 나오는 것으로, 남이 나의 낯에다 침을 뱉을 때 이를 바로 닦으면 그 사람의 뜻을 거스르는 것이 되므로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이다. 

당()나라의 측천무후()는 중국사상 유일한 여제()로서 약 15년간 전국을 지배하였다. 

측천무후는 고종이 죽자, 자신의 아들 중종()과 예종()을 차례로 즉위시키고 정권을 독차지하여 독재 권력을 휘둘렀다. 

자신의 권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탄압책을 쓰는 한편, 유능한 신흥 관리를 많이 등용하고 명신을 적절히 등용하여 정치를 담당시켰기 때문에 천하는 그런 대로 태평했다.

그 무렵, 측천무후의 유능한 신하 중에 누사덕()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성품이 온후하고 관인()하여, 아무리 무례한 일을 당해도 그 자세에 흔들림이 없이 항상 똑같았다. 

하루는 그의 아우가 대주자사()로 임명되어 부임하려고 할 때였다.

그는 동생을 불러 "우리 형제가 다같이 출세하고, 황제의 총애를 받는 것은 좋은 일이나, 그만큼 남의 시샘도 크다고 보면 틀림이 없을 거다. 그렇다면 그러한 시샘을 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처신하면 된다고 생각하느냐?"라고 물었다. 

그러자 동생이 "비록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더라도 결코 상관하거나 화내지 않고 잠자코 닦겠습니다. 만사를 이런 식으로 사람을 응대하여 결코 형님에게 걱정이나 누를 끼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대답했다.

동생의 대답을 듣고 누사덕은 다음과 같이 훈계했다. "내가 염려하는 바가 바로 그것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네게 침을 뱉는다면 그것은 네게 뭔가 크게 화가 났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네가 바로 그 자리에서 침을 닦아버린다면 상대의 기분을 거스르게 되어 그는 틀림없이 더 크게 화를 내게 될 것이다. 침 같은 것은 닦지 않아도 그냥 두면 자연히 마르게 되니, 그런 때는 웃으며 그냥 침을 받아 두는 게 제일이다."

여기서 타면자건()이란 말이 나왔으며, 이는 처세에 인내가 얼마나 중요한 미덕인가를 말해 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552
어제
386
최대
1,156
전체
68,08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