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장 vs 적립보험료
페이지 정보

본문
우리가 매달 내는 보험료는 크게 보장보험료와 적립보험료로 구별합니다.
·
보장보험료: 보험 계약에 따른 보장을 받기 위해 내는 돈입니다.
·
이 돈은 사고가 없으면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
적립보험료: 적립되어서 만기 시 만기 환급금으로 사용됩니다. 보험 광고에 흔히
나오는 ‘만기 시 납입한 보험료를 돌려준다’는 문구는 모두
이 적립보험료를 쌓아서 준다는 의미입니다.
문제는 만기가 너무 길다는 점입니다
30세 가입자가 20년
납입으로 100세 만기 암보험에 가입한 경우,
만기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시점은 100세가 되는 70년 후입니다.
20년 동안 납부한 보험료 일부를 70년 뒤 돌려받는다면 해당 금액의 가치는 물가상승 때문에 떨어져 있을 겁니다.
이를 생각하지 않고 적립보험료가 크게 설계된 보험 계약을 맺으면,
나중에 보험료를 낼 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납입해야 하는 돈에 부담을 느껴 계약 기간 중 보험을 해지하면 이미 낸 적립보험료도 모두 돌려받을 수 없어
손해가 큽니다.
적립보험료는 피하는 게 현명합니다
·
적립보험료 없이 순수하게 보장보험료로 체결된 계약도 사고가 났을 때 보험금을 받는 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
과도한 적립보험료가 존재하는 계약에 가입 중이라면 변경설계를 통해 적립보험료를 제외할 수
있으니 이 방법을 추천합니다.
·
이미 납부하여 쌓여 있는 적립보험료는 중도인출을 통해 활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링크
- 이전글실손보험료 '폭탄'…인상률은 천차만별 왜? 24.10.24
- 다음글아침이슬2(단톡방 박은미 자료 정리) 24.07.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