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로가(嘆老歌) 우탁 (1262-1342) > S Not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S Note

탄로가(嘆老歌) 우탁 (1262-1342)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8회 작성일 24-07-15 10:30

본문



탄로가(嘆老歌) 우탁 (1262-1342)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 청구영언

가장 오래된 시조
이 작품은 전해지는 시조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또한 가장 오래 패러디되어 불리고 있는 시조이기도 하다, 춘향전에 ‘탄로가’가 나오고, 잡가 ‘백발가’도 이 시조의 발상을 그대로 따와 ‘오는 백발 막으려고 우수에 도끼 들고 좌수에 가시 들고 오는 백발 두드리며 … 가는 홍안 절로 가고 백발은 스스로 돌아와 귀 밑에 살 잡히고 검은 머리 백발되니’로 노래한다. 최고 최장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시조라고 하겠다.
우탁은 호 역동(易東)이 암시하듯이 뛰어난 역학자였다. 고려사 열전에 ‘복서(卜筮)가 맞지 않음이 없다’고 기록되었다. 당시 새로운 유학인 정주학(程朱學)이 수용되고 있었는데, 이를 깊이 연구해 후학들에게 전해주었다.
그는 충선왕이 패륜을 저지르자 목숨을 내놓고 극간해 왕을 바로잡은 선비 정신의 표상이었다. 조선조에 와서 이황의 발의로 1570년(선조 3년) 예안에 역동서원이 창건되었다.
그는 탄로가 한 수를 더 남겼는데 그 시조도 널리 불렸다.

춘산(春山)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 데 없다
적은 듯 빌어다가 머리 위에 불리고저
귀밑에 해묵은 서리를 녹여볼까 하노라

유자효(시인)



Gloomy Sunda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4건 1 페이지
S Note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 최고관리자 29 07-16
열람중 최고관리자 59 07-15
12 최고관리자 104 07-18
11 최고관리자 22 07-04
10 최고관리자 59 02-24
9 최고관리자 27 06-22
8 최고관리자 38 06-18
7 최고관리자 36 06-17
6 최고관리자 110 08-02
5 최고관리자 31 06-15
4 최고관리자 32 06-15
3 최고관리자 64 06-02
2 최고관리자 23 05-21
1 최고관리자 21 05-21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725
어제
386
최대
1,156
전체
68,26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